loading
본문 바로가기
경제

연말정산 인적공제 및 근로소득공제 완벽 정리!(23년 개정안 반영)

by [T.E.I] 경제 인사이트 2022. 10. 23.
반응형

연말정산

이번 글에선 연말정산 때 가장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부모 가족 개인 공제"와 "근로 소득 공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연말정산을 1년에 한 번씩 하는 이유는 국세청 직원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국세청은 총급여와 부양가족 수에 따라 매달 원청징수세를 징수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연말정산을 통해 원천 징수 금액과 실제 산정된 세금을 연 1회만 비교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글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과세 소득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비과세 소득은 말 그대로 17개의 비과세 소득입니다. 실비로 환급되는 일·일·여비는 모두 면세되며, 식비는 20만 원까지 면세됩니다. 식사는 원래 10만 원까지였어요. 세제 개편으로 20만 원으로 확대됐습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고용보험/국민연금/공무원연금/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회사가 부담하는 금액도 비과세입니다.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만 6세 미만 보육과 관련해 받는 양육수당은 월 10만 원까지이며, 한국 고용보험 공사가 지급하는 육아휴직수당과 실업급여도 비과세입니다.

 

근로소득공제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사업자의 경우 필요경비를 제외하고 과세 소득을 산정하지만, 근로소득의 경우 소득에 상응하는 필요경비를 증명하는 증명서류를 갖추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총급여를 기준으로 법에서 정한 금액은 근로소득공제인 근로소득공제 형태로 필요경비로 인정됩니다.

근로소득공제의 계산은 다음과 같으며, 공제 한도는 2천만 원까지입니다. ● 근로소득 =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입니다. - 여기서 총급여는 연봉에서 비과세 소득을 뺀 금액입니다. 근로소득공제는 총급여에 따라 5개 구간으로 나눠 산정합니다.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총급여가 5,000만 원이면 1,225만 원이 근로소득공제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간 5,000만 원 근로소득공제 = 1,200만 원 + (총급여 - 4,500만 원) × 5%입니다.

참고로, 두 곳 이상 급여가 지급될 때, 총급여는 주 근무지에서 계산됩니다. 또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이어도 근로소득공제는 매월 산정되지 않고, 원천징수 대상 근로소득과 비거주자의 근로소득에도 근로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부양가족에 대한 인적 공제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이제 의존성 공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에 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부양가족의 개인 공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기본공제 ②추가공제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기본공제는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에 대한 기본공제는 1인당 150만 원입니다. 기본공제는 연 소득 100만 원 미만(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이어야 합니다. 또한 해당 과세 연도에 6개월 이상 위탁 양육된 수양 자녀도 포함됩니다.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기본공제 중 장애인, 노인(만 70세 이상), 여성, 한 부모가 있는 경우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 기본공제를 받는 근로자에만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해당 과세기간에 배우자가 사망한 예도 다음 해부터 배우자공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가 2명 이상 실수로 가족을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면 전년도에 기본공제를 받은 근로자를 우선 인정해야 하고, 전년도에 기본공제를 받지 않으면 해당 연도에 소득이 많은 근로자가 우선 적용됩니다. 추가공제 요건과 금액은 70세 이상 노인 1인당 100만 원, 장애인 1인당 200만 원, 여성 1년 50만 원, 한 부모 1년 100만 원이 됩니다.

연말정산연말정산연말정산

나머지는 깔끔하지만, 여성 공제 부분은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이 연 3,000만 원 이하인 여성 근로자에게 배우자가 있거나 배우자가 없고 부양가족만 있는 가구주가 있는 경우 요건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노인 우대인 직계 조상이 올해 사망하면 내년 말 기본공제 150만 원과 추가공제 100만 원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 모든 암 환자가 장애인공제 대상자는 아니지만, 만성질환으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재학 취업이 어려워 소득세법에서 정한 장애인 진단서를 제출하면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11월 중순부터 매년 개설되는 연말정산 예고 서비스는 맞벌이 부부가 부양가족을 누군가에게 넣으면 세금을 최대한 돌려받을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므로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